건강ㆍ의료

이슈 & 정보
보건소
병원ㆍ약국
건보공단
음식/맛집
패션ㆍ요리
취미ㆍ여행
가족ㆍ육아
전염병➜감염병
반려동물

탑배너

부천시민, 부천시 메르스 대처 만족도 86%
문병문화 개선 조례 제정 86% 찬성
부천시, 메르스 관련 설문조사 발표 
더부천 기사입력 2015-08-11 11:53 l 부천의 참언론- The부천 storm@thebucheon.com 조회 6962


▲메르스 확산의 결정적 요인

부천시민 86%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을 위해 부천시에서 조치한 사항에 대해 만족하고, 문병(問病)문화 개선 조례 제정에 대해 찬성한다고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천시는 지난달 17~26일까지 열흘동안 시 홈페이지 설문조사시스템을 통해 맞춤정보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시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메르스’ 관련 8개 항목의 설문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휴대전화 문자서비스(MMS)로 6만1천68명, 이메일로 9만8천815명 등 15만9천883명에게 전송(대상자 일부 중복) 후 시 홈페이지에 접속해 응답하는 방식을 실시했으며, 1.1%인 1천718명이 응답했다. 응답자 중 60%가 원미구 거주자였고, 여성 56%, 40대가 30%를 차지했다.

우선 ▲메르스 확진자 이동 경로 공개사항 인지 여부에 대해 95%가 ‘알고 있다’고 답했다.

또 인지 경로에 대해서는 휴대전화 문자서비스(MMS)가 36%(621명), 시 홈페이지 12%(200명), 눈 12%(199명), 시정 메모 4%(71명) 순으로 답해 64%(1천91명)가 시(市) 홍보매체를 통해 메르스 확진자 이동 경로 공개사항을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르스 확진자 완치 및 추가 확진자 미발생 인지 여부에 대해 92%가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인지 경로에 대해서는 MMS 42%(721명), 시 홈페이지 13%(228명), SNS 11%(182명), 시정메모 7%(114명) 순으로 답해 73%(1천245명)가 시(市) 홍보매체를 통해 메르스 확진자 완치 및 축 확진자 미발생을 인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문병문화 개선 조례 제정에 대해 85%가 찬성했다.

또한 ▲국내 메르스 확산의 결정적 요인으로는 △발생 초기 감염자 발생 경유병원 미공개 60%(1천26명) △중앙 통제기구 부재 19%(335명) △메르스에 대한 정보 부족 13%(224명) △병원 문병문화 5%(78명) △감염자 본인의 이동경로 미진술 3%(55명) 순으로 응답했다.

▲메르스 확산에 대해 두려움이나 공포를 느꼈는지에 대한 질문에 77%가 두려움을 느꼈다고 답했다.

▲자택 격리시 시(市)의 통제에 따를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99%가 통제기 따르겠다고 응답했다.

▲감염병예방법 국회 통과에 따른 개정사항(이동경로 공개 등) 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48%가 모른다고 답했다.

| AD |
▲메르스 대응을 위해 부천시에서 조치한 사항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86%로 나타났다.

한편, 부천시는 이번 메르스 관련 설문조사는 메르스 사태 발생 초기부터 종료단계까지 시민들의 정보취득 경로 등을 파악하고, 향후 유사상황 발생에 대비해 행동매뉴얼을 보완하고 보건소 기능 및 문병문화 개선 정책 등에 반영하기 위해 실시했다고 밝혔다.

시 기획실 관계자는 “이번 메르스 관련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긴급상황시 시(市) 홍보매체를 적극 활용해 시민들이 손쉽게 정보 취득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두바이 다녀온 메르스 의심환자 ‘음성’ 판정
춘천에서 메르스 의심환자 발생… 격리 후 검사
2018년 메르스 국내 유입, 10월 16일 0시 상황 종료
메르스 확진환자, 완치 판정… 일반 병실로 이동
메르스 환자 발생 후 10일째 2차 감염 없어
댓글쓰기 로그인

건강ㆍ의료
· 경기도, ‘민생회복 소비쿠폰’ 7월 2..
· 부천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7월 2..
· 제29회 부천판타스틱영화제 7월 3일 개..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도 아빠스..
· 경기도농업기술원, 경기농업학교 ‘반..
· 경기도, 베이비부머 사회공헌활동 지원..
· 경기도 특사경, 농어촌 체험·휴양마을..
· 경기도, ‘극한 폭염’ 긴급 대책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