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ㆍ의료

이슈 & 정보
보건소
병원ㆍ약국
건보공단
음식/맛집
패션ㆍ요리
취미ㆍ여행
가족ㆍ육아
전염병➜감염병
반려동물

탑배너

[코로나19] 신규 확진 279명ㆍ총 1만5천318명… 사망 305명ㆍ완치 1만3천910명ㆍ격리중 1천103명ㆍ검사중 2만2천5명 8월 16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279명 중 국내 발생 267명ㆍ해외유입 12명
•인구 10만명당 발병률 29.54%… 완치율 90.81%
•사망자 0명… 치명률 1.99%… 신규 확진 200명대
•지역발생 ‘급증 추세’ㆍ해외유입 두자릿수  
더부천 기사입력 2020-08-16 10:41 l 강영백 기자 storm@thebucheon.com 조회 2670
| AD |
•5월 15일부터 서울시 누계 확진자 1천841명, 경기도(1천800명) 추월
•서울ㆍ경기ㆍ인천 등 수도권 누적 확진자 4천40명… 전체의 26.87%


[속보]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8월 16일 0시 기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 환자가 전날(8월 16일 0시) 대비 279명(지역사회 발생 267명, 해외 유입 12명)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국내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는 1만5천318명(해외 유입 2천642명)으로 늘어났다. 인구 10만명당 발병률은 29.54%로 높아졌다.

 신규 확진자는 8월 들어 줄곧 20∼40명대를 기록했으나 12일과 13일 이틀째 50명대를 보였다가, 14일과 15일 이틀째 100명대 세 자릿수를 기록했고, 16일에는200명대를 기록하며 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이 정점(2월 29일 909명)을 찍은 직후 확산세가 거셌던 3월 8일(367명) 이후 161일 만에 가장 많은 숫자다.

해외 유입 사례는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전체 추가 확진자는 사흘째 세자릿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초발환자(첫 감염자) 중 한 명으로 추정되는 경기도 용인시 66번 환자(29세 남성)가 지난 5월 6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8일 12명, 9일 18명, 10일 34명, 11일 35명, 12일 27명, 13일 26명, 14일 29명, 15일 27명, 16일 19명, 17일 13명, 18일 15명, 19일 13명, 20일 32명, 21일 12명, 22일 20명, 23일 23명, 24일 25명, 25일 16명, 26일 19명, 27일 40명, 5월 28일 79명, 29일 58명, 30일 30명, 31일 39명이었다.

6월 들어서는 1일 35명, 2일 38명, 3일 49명, 4일 39명, 5일 39명, 6일 51명, 6월 7일 57명, 8일 38명, 9일 38명, 10일 50명, 11일 45명, 6월 12일 56명, 13일 49명, 14일 34명, 15일 37명, 16일 34명, 17일 43명, 18일 59명, 19일 49명, 20일 67명, 21일48명, 22일 17명, 23일 46명, 24일 51명, 25일 28명, 26일 39명, 27일 51명, 28일 62명, 29일 42명, 30일 43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다.

7월 들어서는 1일 51명에 이어, 2일 54명으로 이틀 연속 50명대 추가 확진에 이어, 3일 63명, 4일 63명, 5일 61명으로 사흘 연속 60명대의 추가 확진자가 발생해 4월초(4월 1~5일)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많은 추가 확진자가 이어졌고, 6일 48명, 7일 44명에 이어 8일 63명, 9일 50명, 10일 45명에 이어 보름(15일) 만인 11일 35명으로 떨어졌다가 12일 44명에 이어 닷새 만인 13일 62명이 추가 확진됐고, 14일과 15일 이틀째 30명대, 16일 61명, 17일 60명, 18일과 19일 30명대, 20일 20명대, 21일 40명대, 닷새만인 22일 63명, 23일 59명, 24일 41명, 25일 113명, 26일 58명, 27일 25명, 28일 28명, 29일 48명, 30일 18명, 31일 36명을 기록했다.

8월 들어서는 1일 31명. 2일 30명, 3일 23명, 4일 34명, 5일 33명, 6일 43명, 7일 20명, 8일 43명, 9일 36명, 10일 28명, 11일 34명, 12일 54명, 13일 56명, 14일 103명, 15일 166명, 16일 279명이 추가 확진됐다.

사망자는 나오지 않이 누적 사망자는 305명을 유지했고, 평균 치명률은 1.99%로 낮아졌으며, 연령별 치명률은 80세 이상 24.60%, 70대 8.88%, 60대 2.02%, 50대 0.59%, 40대 0.19%, 30대 0.10%이다.

완치돼 격리 해제된 확진자는 9명이 추가돼 1만3천910명으로 늘었고, 완치율은 90.81%로 낮아졌다.

격리 치료를 받는 확진자는 270명이 추가돼 1천103명으로 늘었고, 검사가 진행 중인 사람은 387명이 추가돼 2만2천5명으로 증가했다.

밤사이 새롭게 확진된 환자 279명은 서울 146명, 경기 98명, 인천 9명, 부산 7명, 광주 7명, 충남 5명, 울산 3명, 경남 2명, 대구 1명, 충북 1명, 검역 2명 등이다.

이 가운데 지역발생은 서울 141명, 경기 96명, 인천 8명, 광주 7명, 부산 6명, 충남 5명, 대구 1명, 울산 1명, 충북 1명, 경남 1명이며, 해외 유입은 서울 5명, 경기 2명, 울산 2명, 부산 1명, 인천 1명, 경남 1명이다.

전체 확진자 1만5천318명 중 지역별 누계를 보면, ▲대구 6천947명(45.35%), ▲서울 1천987명(12.97%) ▲경기 1천898명(12.39%)으로, 서울의 누계 확진 수는 5월 15일부터 경기도를 추월한 상태다.

▲경북 1천412명(9.22%) ▲인천 408명, ▲광주 228명, ▲충남 207명, ▲부산 208명, ▲대전 168명, ▲경남 170명, ▲충북 83명, ▲강원 81명, ▲울산 65명, ▲세종 50명, ▲전북 43명, ▲전남 42명, ▲제주 26명 등이며, ▲검역 1천295명(8.45%)이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8월 16일 0시 기준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은 사람(의사환자 누계)은 확진자를 포함해 168만1천787명이며, 이 중 97.78%인 164만4천464명이 ‘음성’ 판정을 받았다.


■경기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1천913명(완치 1천484명ㆍ사망 32명ㆍ격리중 397명)- 시ㆍ군별 현황- 8월 16일 0시 기준

▲성남시 214명, 용인시 204명, 부천시 189명, 평택시 181명, 수원시 125명, 고양시 128명, 군포시 86명, 의정부시 81명, 안양시 74명, 김포시 70명, 남양주시 69명, 안산시 62명, 화성시 57명, 광주시 49명, 포천시 38명, 시흥시 38명, 파주시 37명, 광명시 36명, 양평군 35명, 하남시 19명, 양주시 18명, 이천시 17명, 구리시 16명, 과천시 13명, 오산시 13명, 의왕시 13명, 안성시 13명, 동두천시 8명, 여주시 6명, 명, 연천군 0명.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월 2일 이후 115일 만인 7월 25일 100명 이상이 나왔지만, 이라크 귀국 근로자와 부산항 러시아 선박 선원을 제외하면 134일째 100명 이하로 떨어졌으나, 135일째인 8월 14일과 15일 이틀째 100명 이상이 나온데 이어, 16일 200명 이상이 나왔다.

신규 확진자가 100명 미만으로 줄어든 것은 지난 2월 21일(추가 확진 74명) 이후 23일 만인 3월 15일부터 18일까지 나흘 연속 기록한 이후 100명 전후를 오르락 내리락했다가 4월 2일(89명)부터 100명 이하로 떨어졌다가 7월 25일(113명) 100명 이상이 나온 바 있다.

신규 확진 환자는 지난 5월 29일(53명)에 이어, 6월 들어서는 6일(51명) 50명대로 늘어난 가운데 7일(57명)에 이어, 18일(59명), 20일(67명)으로 가장 많은 신규 확진자가 나오며 줄곧 30~50명대를 이어오다가 한때 10명대로 떨어지기도 했으나 이후 20~60명대 안팎을 기록하다가 이틀 연속 100명대로 급증하면서 방역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4월 1일 101명, 2일 89명, 3일 86명, 4일 94명, 4월 5일 8, 8일 53명이 발생된 이후 4월 9일 39명, 10일 27명, 11일 30명, 12일 32명, 13일 25명, 14일 27명, 15일 27명, 16일 22명, 17일 22명, 18일 18명. 19일 8명, 20일 13명, 21일 9명, 22일 11명, 23일 8명, 24일 6명, 25일 10명, 26일 10명, 27일 10명, 28일 14명에 이어 29일 9명, 30일 4명 등으로 신규 확진지가 한자릿수를 기록하며 진정 국면을 보였다.

5월 초에도 이같은 진정세가 이어졌다. 5월 1일 9명, 2일 6명, 3일 13명, 4일 8명, 5일 3명, 5월 6일 2명, 7일 4명 등으로 안정세를 보였다.

하지만 5월 황금 연휴가 끝난 이후부터 두자릿수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기 시작했다. 8일 12명, 9일 18명, 5월 10일 34명, 11일 35명, 12일 27명, 13일 26명, 14일 29명, 15일 27명, 16일 19명, 17일 13명, 18일 15명, 19일 13명, 20일 32명, 21일 12명, 22일 20명, 23일 23일, 24일 25명, 25일 16명, 26일 19명 이었으나, 5월 27일 40명, 5월 28일 79명, 29일 53명으로 증가했고, 30일 39명, 31일 27명으로 증가 추세가 주춤했다.

6월 들어서는 집단감염의 여파로 인한 접촉자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신규 확진자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나오면서 30~50명대를 기록했다가 60명대까지 나오기도 했다.

6월 1일 35명, 2일 38명, 3일 49명, 4일 39명, 5일 39명, 6월 6일 51명, 7일 57명, 8일 38명, 9일 38명, 10일 50명, 11일 45명, 12일 56명, 13일 49명, 14일 34명, 15일 37명, 16일 34명, 17일 43명, 18일 59명, 19일 49명, 20일 67명, 21일 48명, 22일 17명, 23일 46명, 24일 51명, 25일 28명, 26일 39명, 27일 51명, 28일 62명, 29일 42명, 30일 43명이다.

7월 들어서는 1일 51명, 2일 54명 등 이틀 연속 50대를 기록했고, 3일(63명), 4일(63명), 5일 61명으로 사흘 연속 60명대를 기록한데 이어, 6일 48명, 7일 44명으로 이틀째 40대에 이어 8일 63명, 9일 50명, 10일 45명, 11일 35명, 12일 44명, 13일 62명, 14일 33명, 15일 39명, 16일 61명, 17일 60명, 18일 39명, 19일 34명, 20일 26명, 21일 45명, 22일 63명, 23일 59명, 24일 41명, 25일 113명, 26일 58명, 27일 25명, 28명 28명, 29일 48명, 30명 18명, 31일 36명이 추가 확진됐다.

8월 들어서는 1일 31명, 2일 30명, 3일 23명, 4일 34명, 5일 33명, 6일 43명, 7일 20명, 8일 43명, 9일 36명, 10d일 28명, 11일 34명, 12일 54명, 13일 56명, 14일 103명, 15일 166명, 16일 279명이 확진됐다.

국내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보면, 완차지 수가 격리중인 환자 수를 추월하는 것은 지난 3월 28일이며, 지난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지 68일째 였고, 완치자 수와 확진 환자 수기 감소 추세를 보이면서 코로나19의 안정세가 뚜렷하게 이어져 왔다.

하지만 5월 첫째주 황금연휴 기간에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클럽에서 발생한 집단감염 이후 지역사회의 2차 감염 이상의 전파인 ‘n차 감염’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규 확진자가 꾸준히 나오다가 최근에는 주춤하면서 안정세로 돌아서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지역 발생은 비교적 안정세를 찾는 듯 했으나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단감염 사례가 급증세를 보이면서 ‘방심은 금물’ 이라는 것을 새삼 깨닫게 하는 가운데, 해외 유입 신규 확진자도 꾸준히 발생해 방역당국을 긴장케 하고 있다.

특히 인구 밀집도가 높은 수도권 지역에서는 있는 등 유흥시설, 실내운동시설, 작은 공간에서의 소모임, 교회 등에서 언제든지 집단감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만큼 모임 자제 및 개인별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방역당국은 누차 강조하고 있다. 첫 번째 방역수칙으로 개인별 마스크 착용과 손씻기를 거듭 당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5월 6일부터 전환된 ‘생활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준수와 손씻기 및 마스크 착용 등 개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수도권 지역에서는 5월 29일부터 6월 14일까지 강화된 방역수칙을 시행(▶관련기사 클릭)에 이어,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10명 이내) 등 ‘생활 속 거리 두기’ 직전 위험도 수준으로 상황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수도권의 강화된 방역조치를 무기한 연장하기로 했다.

방역당국에서는 조용한 감염자에 의한 집단감염 차단을 위해 ‘생활 속 거리 두기’에 따른 마스크 착용 및 손씻기 등 개인 위생 수칙 준수에 국민적 동참을 당부하면서 지역사회 감염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5월 6일부터는 ‘사회적 거리 두기’를 ‘생활속 거리 두기’로 전환(관련기사 클릭)하는 한편, 생활 속 거리 두기(생활방역)에 따른 5대 핵심 수칙(▶관련기사 클릭)을 지켜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앞서 정부 차원의 ‘사회적 거리 두기’는 지난 3월 22일부터 시작했다. 정부는 4월 5일까지 15일간 강화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시작했고, 이어 4월 19일까지 2주 연장해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시했으며, 이후 4월 20일부터는 최장 6일간의 연휴가 끝나는 5월5일까지 16일간 ‘사회적 거리 두기’를 3차로 연장한 바 있다.

정부는 6월 29일부터는 ‘사회적 거리 두기’와 관련,  단계별 기준 및 실행 방안에 따른 예측 가능성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단계별 전환 기준 및 조치 사항을 명확하게 재정비해 모든 ‘거리 두기’ 단계의 기본 명칭을 ‘사회적 거리 두기’로 통일하고, 감염 유행의 심각성 및 방역 조치의 강도에 따라 1~3단계로 구분해 시행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클릭 

한편,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3월 2일부터 ‘코로나19’ 일별 환자 발생 통계를 ‘0시’ 기준으로 홈페이지에 발표하고, 오후 2시에는 정례브리핑을 기존대로 실시하고 있으며, 3월 10일부터는 오후 5시에 오후 4시 기준으로 언론에 공개한 확진자 추가 현황은 공개하지 않으면서, 3월 11일부터는 매일 오전 10시에 그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일별 환자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일환으로 3월 23일부터 비대면(非對面)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돼 진행한 브리핑을 5월 6일부터는 온ㆍ오프라인으로 전환해 진행하기 시작했다.
배너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코로나19] ‘일일통계 제공 마지막 날’ 전국 신규 확진 1만8천663명, 역대 325번째ㆍ누적 확진자 3천176만6천502명ㆍ위중증환자 138명ㆍ사망자 9명 6월 3일 0시 기준
[코로나19] 전국 신규 확진 1만9천724명, 역대 310번째ㆍ누적 확진자 3천174만7천839명ㆍ위중증환자 155명ㆍ사망자 11명 6월 2일 0시 기준
[코로나19] 부천시, 6월 2일 신규 확진 375명ㆍ역대 259번째 높은 수치ㆍ누적 50만2천474명
[코로나19] 전국 신규 확진 2만4천604명, 역대 278번째ㆍ누적 확진자 3천172만8천115명ㆍ위중증환자 166명ㆍ사망자 20명 6월 1일 0시 기준
[코로나19] 부천시, 6월 1일 신규 확진 446명ㆍ역대 236번째 높은 수치ㆍ누적 50만2천99명
댓글쓰기 로그인

건강ㆍ의료
· [K리그2] 부천FC, 김포와 홈경기 1-1 ..
· 제29회 BIFAN 폐막… “좌석점유율 86..
· 제29회 부천판타스틱영화제 7월 3일 개..
· ‘2025 경기도 사회적경제박람회’ 9월..
· 경기도, AI 활용 사회문제 해결 ‘AI ..
· 경기도, ‘안전제안 정책 오디션’ 최..
· 경기도, 7월 정기분 재산세 2조 1천23..
· 경기도, ‘영유아 발달단계에 맞는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