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베스트

자연ㆍ풍경
동ㆍ식물
눈(雪)
사진

탑배너

[포토] 담쟁이덩굴의 가을 징후
 
더부천 기사입력 2015-08-20 10:05 l 강영백 기자 storm@thebucheon.com 조회 10204

| AD |

견우와 직녀가 만난다는 칠석(七夕)인 20일(음력 7월7일) 오전 부천시 원미구 소사동 주택가 담장을 타고 올라간 담쟁이덩굴이 다가오는 가을을 알리듯 차츰 물들어가고 있다. 휴일인 23일은 여름 더위가 물러나고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 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 는 절기상 처서(處暑)이다. 2015.8.20

◇Tip- 칠석(七夕)

음력 7월7일을 칠석(七夕)이라고 하는데, 칠석의 유래는 중국의 <제해기(薺諧記)>에 처음 나타난 견우와 직년의 설화에서 유래하고 있다.

설화 내용은 옥황상제가 손녀인 직녀(織女)를 하늘나라 궁전의 은하수 건너에 사는 부지런하고 착한 목동인 견우(牽牛)와 결혼시켰는데, 결혼 후 견우와 직녀는 너무 사이가 좋아 견우는 농사일을 게을리 하고 직녀는 베짜는 일을 게을리 하면서 천계(天界)의 현상이 혼란에 빠져 사람들은 천재(天災)와 기근(饑饉)으로 고통받게 되자 옥황상제가 크게 노한 나머지 견우는 은하수의 동쪽에, 직녀는 은하수의 서쪽에 떨어져 살게 했고,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애만 태우는 견우와 직녀의 안타까운 사연을 알게 된 까마귀와 까치들이 해마다 칠석날에 이들이 만나도록 하기 위해서 하늘로 올라가 놓아준 다리가 오작교(烏鵲橋)로, 견우와 직녀는 칠석날이 되면 오작교에서 만났다고 한다.

칠석 다음날 까마귀와 까치의 머리를 보면 모두 벗겨져 있는데 그것은 오작교를 놓기 위해 머리에 돌을 이고 다녔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칠석날에는 비가 내리는데 하루 전에 내리는 비는 만나서 흘리는 기쁨의 눈물이고, 이튿날 내리는 비는 헤어지면서 흘리는 슬픔의 눈물이라고 한다. 칠석날 낮에 오는 비는 기쁨의 눈물이고, 밤에 오는 비는 슬픔의 눈물이라고도 한다.

견우와 직녀의 설화 배경은 견우성과 직녀성이 은하수의 동쪽과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착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칠석 관련 속담 중에는 ‘까마귀도 칠월 칠석은 안 잊어버린다’는 말이 있는데, 중요한 사실이나 날짜는 명심해서 잊지 말 것을 일깨울 때 쓰는 속담이다.

◇Tip- 담쟁이덩굴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포도과의 낙엽활엽 덩굴식물로, 미국의 소설가 오 헨리(1862~1910)의 소설 ‘마지막 잎새’에서 강한 생명력으로 희망을 상징하는 담쟁이덩굴은 담을 타고 올라가서 담쟁이덩굴이라고 부르며, 땅을 덮는 비단이라는 뜻의 ‘지금(地錦)’ 또는 ‘석벽려(石薜荔)’라고도 한다.

담쟁이덩굴은 봄부터 여름에는 무성한 잎이 시원스럽고, 가을에는 다양한 색상의 단풍으로 물들어 옹벽, 건물 벽면, 도로 비탈면 등의 녹화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담쟁이덩굴은 벽돌담이나 바위에서 자라는 것은 독성이 강하지만, 참나무나 소나무를 타고 오른 담쟁이덩굴은 우리 몸에 좋은 성분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맛은 달고 떫으며 따뜻한 성질을 갖고 있는 약초로, 줄기를 잘라 말린 것을 꼭꼭 씹어보면 단맛이 나서 옛날에는 진하게 달여서 감미료로 쓰기도 했다고 한다.

특히 술로 담가 먹으면 허리의 통증이나 관절통 등과 뱃속의 덩어리를 없애는데 효험이 있고, 줄기를 잘라 말려서 달여 먹으면 활혈·거풍·부인병·적(백)대하·근육통 등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열매와 줄기는 술을 담가 먹으면 골절 통증을 완화시키고 오래된 요통 치료나 진정작용까지 뛰어나고, 최근에는 당뇨에 좋다고 해서 애용되고 있다.

배너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포토] 담쟁이덩굴
[포토] 만추… 담쟁이넝쿨의 은근한 매력
[포토] 가을 담쟁이덩굴은 크레파스
[포토] 성큼 다가선 가을 알리는 담쟁이덩굴
[포토] 소나무 타고 올라가는 담쟁이덩굴
댓글쓰기 로그인

포토 베스트
·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 부천시 공공의료원 설립·운영 조례안..
· ‘경기형 과학고’ 부천·성남·시흥·..
· 부천시, ‘2025년 부천 단비기업 창업..
· 부천시,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 부천시보건소, 코로나19 예방접종 6월..
· 부천시, 도당1·옥길3·여월지구 지적..
· 경기도교육청, ‘경기공유학교 대학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