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대표의원 염종현, 부천1)은 10일 논평을 통해 제338회 임시회에서 심의의결된 추가경정예산과 관련, “일본 경제침략으로 힘들어 하는 도내 기업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자립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되길 소망한다”고 밝혔다.
앞서 경기도의회 민주당은 지난달 26일부터 10일까지 열린 제338회 임시회에서 일본경제침략 대응을 위한 추가경정예산 326억원을 심의, 의결했다.
특히 이번 추경예산 심의에서 ‘중소기업과의 상생 협력을 위한 부품국산화 지원사업’의 경우 도내 피해기업들의 추가적인 지원을 위해 5억원을 증액했다.
일본 경제침략 대응 추경예산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소재ㆍ부품 국산화 연구개발 사업 100억원 △기술개발사업 100억원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을 위한 부품국산화 사업 15억원 △시스템 반도체 국산화 지원사업 10억원 △소재ㆍ부품 장비 피해 기업 운전 및 시설투자 특례 지원 50억원 △소재ㆍ부품 국산화 펀드 조성사업 50억원 △수출 규제 대응전략 수립 용역 1억원 등 총 7개 사업에 326억원이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황대호 의원(수원4)이 발의한 ‘경기도교육청 일본 전범기업 기억에 관한 조례안’이 수정 가결돼 올바른 역사인식 확립과 전범기업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김용성 의원(비례)이 발의한 ‘문화재 및 공공시설 등의 친일 흔적조사 및 일소(一掃) 촉구 건의안’도 통과돼 경기도에서 시행하고 있는 문화재 및 공공시설 등에 잔존해 있는 친일 흔적들에 대한 청산 작업을 전국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은 “앞으로도 일본경제침략으로 힘들어 하는 중소상공인, 자영업자 등 경제적인 약자를 위한 정책생성 및 의정활동에 전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