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실에 따르면 경기도에서는 도내 15개ㅔ 버스업체가 오는 15일 총파업에 참여할 예정인 가운데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단은 11일 대책회의를 통해 현안을 논의, 노조 대표자들과의 협상을 통해 상황을 조정하고 경기도 집행부와의 협의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노조 측에 공식 만남을 요청했고, 버스 노조 측이 수용함에 따라 13일 오전 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실에서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간담회에는 경기지역 자동차노동조합(위원장 장원호), 중부지역 자동차 노동조합(위원장 변병대), 경기도 버스노동조합(위원장 윤창수), 업체별 단위노조 대표로 경기고속(위원장 이순창) 등 4개 버스업체 노조 대표가 참석할 예정이다.
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단에서는 염종현 대표의원(부천1)과 남종섭 총괄수석부대표(용인4), 민경선 정책위원장(고양4)과 교통국 업무를 소관하는 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조재훈 위원장(오산2)이 참석한다.
염종현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은 “버스업체 파업이 예고된 상황에서 입장 차이가 첨예해 어려운 협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도민의 발인 버스가 멈춰서 불편이 초래되는 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 끝까지 사안을 챙길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은 8일과 9일 이틀간 치러진 파업 찬반 투표에서 96.6%의 찬성률로 총파업을 결의했다.
이에 따라 현재 진행중인 노사 협의가 결렬될 경우, 오는 15일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 2만여 대의 버스가 운행을 중단하게 될 상황이다.
경기도의 경우 15개 버스업체 노조가 파업에 참여함에 따라 도내 버스 589대가 운행을 중단하게 되며, 이 노선을 이용하는 하루 평균 12만여 명에 달하는 도민의 교통 불편이 초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파업에 참여하는 노조의 요구는 임금 인상을 통해 현재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서울시의 버스에 준하는 임금 수준 보장과 주 52시간제 시행에 따른 임금 감소분을 보전해 달라는 것이다.
| AD |
이에 대해 버스회사 측은 주 52시간제 시행에 따라 신규 인력 충원이 필요한 만큼 요금 인상 등 별도 재원 마련 없이는 노조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토교통부는 경기도의 요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경기도에서는 서울ㆍ인천ㆍ경기도의 경우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를 시행 중으로 1개 지자체만이 단독 인상하기는 곤란하다는 판단이다.
이처럼 각 이해관계자의 입장 차이로 인한 협상의 난항이 예상되는 가운데 경기도의회는 조정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지난 7일 건설교통위원회 조재훈 위원장 주재로 도내 버스업계 노사, 소비자단체 대표, 도 집행부 측이 참석한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를 지속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