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천시갑)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제출받은 ‘건강보험, 국민연금 성실납부 및 체납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중 한 가지 보험료만 선택적으로 납부하는 세대가 26만 4천389세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체납액은 무려 7천350억원이다.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중 건강보험료는 성실히 납부하면서 국민연금 보험료를 6개월 이상 체납한 세대가 25만 8천398세대로 전체의 97.7%를 차지했다. 이는 국민연금 보험료는 성실히 납부하면서 건강보험료를 체납한 5천991세대의 43배에 달하는 수치다.
체납액 기준으로는 건강보험료 성실납부세대의 국민연금 보험료 체납액은 7천350억원으로 전체 체납액의 99.3%를 차지했다. 이는 건강보험료 체납액인 51억원의 144배에 달하는 규모다.
| AD |
체납기간의 상위 5건을 살펴보면, 먼저 체납기간의 경우 건강보험 성실납부세대의 국민연금 체납 최다기간은 296개월, 국민연금 성실납부세대의 건강보험 체납 최다기간은 227개월이었다. 상위 5건의 체납기간 평균은 각각 290.4개월과 220.8개월이었다.
총체납액 상위 5건의 경우 국민연금 체납 1위는 7천989만원이었고, 건강보험 체납 1위는 5천64만원이었다. 상위 5건의 총체납액은 국민연금 체납이 3억 4천149만원, 건강보험 체납이 1억 4천537만원이었다.
서영석 의원은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모두 의무가입제도임에도 건강보험만 성실하게 납부하는 이유가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 때문이라면 국가는 사회보험제도의 관리주체로서 국민의 불신을 해소할 책무가 있다”고 지적하며 “이런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가 더 내고 덜 받는 연금개혁안을 발표하며 국민의 우려가 더 커진 만큼,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제도개선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