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김명원 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부천6)은 27일 경기도 이동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 확대 방안을 위한 조례 개정을 위해 ‘경기도 이동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 확대’ 정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정담회에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조광희(안양5), 박태희(양주1), 최종헌(보건복지위원회 부위원장, 비례) 도의원, (사)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김기호 회장, 한은정 사무처장, 정일교 부장이 참석했다.
김명원 위원장은 “교통약자들의 사회 참여와 복지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 경기도 차원에서 시ㆍ군별 센터 설치 및 운영을 장려하고 있으나, 현재 도내 31개 시ㆍ군 중 이동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 설치 또는 그 역할을 수행하는 시ㆍ군은 수원시와 용인시 뿐”이라며 “이번 정담회를 통해 이동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 확대를 위한 방향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종현 부위원장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센터 광역화 운영은 현재 상위법에 근거가 없어 시ㆍ군의 참여 의지를 더 저조하다”며 “기술지원센터의 적정한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토록 해 시ㆍ군의 설치 참여를 촉진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였다.
박태희 도의원은 “이동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의 경우, 현재 업무량을 고려할 때 각 시ㆍ군별 2~3명의 인원이 예상되며, 센터를 새로 건립하는 방식이 아닌, 기존 장애인 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에 인력을 배치할 수 있도록 도(道) 차원에서 예산을 편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경기도 지체장애인협회 측은 “장애인 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의 경우 이동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와 체계 자체가 달라 예산의 편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며 우려했다.
최종현 부위원장은 “건설교통위원회 차원에서 이와 관련한 예산을 편성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고, 각 시ㆍ군과의 사전 협의와 협력하면 충분히 가능한 사항”이라며 적극적인 추진 의사를 밝혔다.
조광희 도의원은 “시ㆍ군별 이동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의 건립은 꼭 필요하기에 경기도와 시ㆍ군이 예산을 분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 교통약자 관련단체, 경기도, 시ㆍ군이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협약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명원 위원장은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차원에서 이동편의 기술 지원을 실시할 수 있는 인원이 기존의 31개 시ㆍ군 장애인 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에 도입이 될 수 있도록 정책 제안을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