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신·구도시 균형발전을 위하여 구도심 지역의 노후 불량주택 밀집지역의 재건축, 재개발 및 주거환경개선 사업 등과 관련, 서울시가 추진하는 ‘뉴타운 개발’ 방식을 지역실정에 맞게 도입하는 것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시에 따르면 현재 구시가지 일원의 생활환경이 열악하거나 악화되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주민들의 개발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택지개발사업(소사1지구는 완료, 소사2지구와 오정구 여월택지지구 추진중) ▲주거환경개선사업(오정, 송내지역) ▲재건축사업(39개 지구 중 8개 지구 완료, 31개 지구 추진중) 등이 진행되고 있다.
시는 그러나 이들 정비사업들이 소규모 민간 위주로 시행됨에 따라 ▲도로, 주차장, 공원, 학교 등 도시기반시설 부족 ▲원주민들 대부분이 저소득층인 관계로 재정착률 저하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소규모 민간사업 위주로 추진되면서 사업성만을 고려한 나머지 각종 공공기반시설의 확보가 어렵게 되는 등 난개발로 이어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만 가고 있다.
시는 이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공공기반시설 조성사업과 민간 개발을 병행토록 해 쾌적한 도시환경을 갖추도록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것이 주된 목적인 ‘서울시의 뉴타운 개발 방식’을 지역실정에 맞게 적용하는 것을 적극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에 따라 우선 신·구도시의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해 도시기반시설이 열악한 구시가지 지역의 체계적인 정비를 위한 ‘부천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이 기본계획은 종래 민간 위주의 구도시 개발 방식이 도시기반시설에 대한 충분한 고려없이 개별사업별로 시행되면서 난개발로 이어지는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이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 5월24일 ㈜동일기술공사와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수립에 관한 용역계약을 체결했으며, 앞으로 구도심 전역에 대한 노후건물 및 기반시설 등 기초조사와 주민공청회 실시 등을 거쳐 기본계획안을 마련한 뒤 도시계획 절차에 따라 주민공람, 관계행정기관 협의,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도지사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2006년 5월 최종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시는 뉴타운 개발 방식을 적용해 개발이 가능한 곳으로, 20년 이상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과 1단계 집행 대상 시설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반경 800m내 생활편익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검토한 결과, ▲약대·도당 ▲역곡 ▲송내 ▲계수·범박 등 4개지역이 선정,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는 그밖에 구도시 기타지역에 대해서도 기본계획 용역단계에서 충분히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시는 지난 11일 오후 2시 시청 대강당에서 관계 공무원들을 참석시킨 가운데 ‘서울 아현 뉴타운 개발’을 총괄해온 신중진 교수(성균관대)를 초청, 뉴타운 사업의 개념과 아현 뉴타운 개발 추진과정, 사례 소개 등에 관한 교육을 실시해 뉴타운 개발사업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도왔다. 기타 문의= 도시개발사업소☎(032)320-3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