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사본1D구역ㆍ소사본2D구역ㆍ소사본3B구역ㆍ소사본4B구역ㆍ소사본5B구역ㆍ소사본6B구역ㆍ소사본7E구역ㆍ소사본9-1D구역ㆍ소사본9-2D구역ㆍ소사본9-3D구역ㆍ소사본11B구역ㆍ소사본12B구역ㆍ괴안1D구역ㆍ괴안2D구역ㆍ괴안3D구역ㆍ괴안5B구역ㆍ괴안6-1Dㆍ괴안6-2Dㆍ괴안7D구역ㆍ괴안9B구역ㆍ괴안10B구역ㆍ괴안11B구역ㆍ괴안12B구역 등이다.
2단계 사업구역은 소사본8B구역ㆍ괴안4B구역ㆍ괴안8B구역 등 3곳이며, 3단계 사업구역(2013년 이후)은 소사본13C구역ㆍ소사본14C구역ㆍ괴안13C구역ㆍ괴안14C구역 등 4곳이다.
1단계 사업구역중 소사본1Dㆍ소사본2Dㆍ소사본9-1Dㆍ소사본9-2Dㆍ소사본9-3Dㆍ괴안1Dㆍ괴안2Dㆍ괴안3Dㆍ괴안6-1Dㆍ괴안6-2Dㆍ괴안7D 등 11곳은 도시환경정비사업이며, 소사본3Bㆍ소사본4Bㆍ소사본5Bㆍ소사본6Bㆍ소사본11Bㆍ소사본12Bㆍ괴안5Bㆍ괴안9Bㆍ괴안10Bㆍ괴안11Bㆍ괴안12B 등 11곳은 주택재개발사업이고, 소사본7E은 도시개발사업구역으로 추후 사업시행자에 의해 별도 개발계획 수립시 촉진계획의 변경을 통하여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2단계 및 3단계 사업구역은 주택재개발사업구역이다.
소사지구의 기반시설 비용분담금은 단위 면적(㎡)당 20만8천600원이다.
소사지구의 기본구상안에 대한 특징은 ‘걷고 싶은 도시, 살고 싶은 소사’를 목표로 지속가능한 청정(淸淨) 자족도시로 구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역사성 있는 곡선형 가로망을 유지하고 보행로 확보를 위해 지구전체와 주변 산지를 연결하는 녹지축을 계획했다.
현재의 도로를 유지함과 동시에 도로를 확장할 경우에도 현재의 가로수를 그대로 유지하는 도로횡단구성 계획과 함께 현재는 복개된 하천을 복원한 자연형 하천 조성을 통해 보존과 개발의 조화를 유지하도록 했다.
| AD |
특히 소사지구는 경인전철의 소사역과 원시~안산간 지하철이 통과하는 입체 역세권으로 부천시를 상징하는 랜드마크(LAND MARK) 타워(TOWER) 건립을 계획하여 수평적 안정성과 수직적 역동성의 조화가 되도록 하기 위해 소사역~ 지상ㆍ지하 광장~ 경인로~ 업무ㆍ상업시설 이용 등이 용이하도록 입체 복합시설을 조성해 역세권 활성화와 부천지역 방문 주민들의 활동공간으로 활용하도록 부천시에서 도시개발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부천시 뉴타운개발과는 이번에 실시하는 3개 뉴타운지구 계획안의 공람내용은 확정 결정된 사항이 아니며, 시의회의 의견 청취, 공청회, 관련부서 협의, 경기도 도시재정비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만큼 변경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시는 또 이번 재정비촉진계획 수립과 관련하여 각 지구별 기반시설의 비용분담계획은 원미ㆍ소사지구는 기반시설 부지 평균 순부담률이 10% 이상이 되고, 고강지구는 순부담률이 6.6%로 지역주민들의 부담을 최소화하는데 노력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