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 일반
미담(美談)
사건ㆍ사고
민원 현장
현안 과제
현장 이모저모
토픽(Topic)
법원ㆍ검찰
부천 경찰
소방서
가십(Gossip)
전국 이슈
노점상 단속
교통 항공 소음
여론(poll)
언론(press)
종교
더부천 History
시사 포토

탑배너

경기도 119신고전화, 올해 2분기 ‘오접속·무응답 신고’ 작년보다 2.4% 감소
올해 2분기 도내 119신고 60만8천173건, 13초마다 1건씩 신고 접수
화재·구조·구급 등 현장출동 신고 15.4% 증가… 화재신고 38.7% 늘어
안내·타기관 이첩 등 비출동 신고 12.7% 감소… 오접속·무응답 20.5% 
더부천 기사입력 2022-07-13 08:50 l 강영백 기자 storm@thebucheon.com 조회 2147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재난종합지휘센터

올해 2분기 경기도 소방에 걸려온 119신고 전화가 잘못 걸었거나 전화를 걸고도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오접속·무응답 신고가 20% 가량 대폭 줄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감소했다.

13일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접수된 경기도 119신고는 총 60만8천17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2만3천162건)보다 2.4%(1만4천989건) 감소했다. 이는 하루 평균 6천683건이 접수된 것으로, 13초마다 1건씩 신고가 접수된 셈이다.

신고 유형별로는 화재, 구조, 구급 등 현장출동 관련 신고가 26만2천571건으로 전체의 43.2%를 차지했고, 안내 및 타기관 이첩 등 비출동 신고가 34만5천602건으로 56.8%를 차지했다.

현장 출동 신고는 지난해 동기(22만7천449건)보다 15.4%(3만5천122건) 증가한 반면, 비출동 신고는 지난해 동기(39만5천713건)보다 12.7%(5만111건) 감소했다.

현장 출동 신고 가운데 화재 신고가 지난해 2분기 2만4천439건에서 올해 2분기 3만3천894건으로 38.7%(9천455건) 늘어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구조 신고는 지난해 2분기 3만7천607건에서 올해 2분기 3만9천884건으로 6.1%(2천277건) 증가했으며, 구급 신고는 지난해 2분기 16만19건에서 올해 2분기 18만2천652건으로 14.1%(2만2천633건) 증가했다.

비출동 신고 가운데 오접속과 무응답이 지난해 2분기 17만6천495건에서 올해 2분기 14만290건으로 20.5%(3만6천205건) 감소해 전체 119신고 건수를 끌어내리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 접수자가 상황을 여러 차례 물어봐도 아무 대답이 없는 ‘무응답’과 잘못 걸렸다고 확인되는 ‘오접속’은 미성년 자녀의 실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경기도 소방본부는 설명했다.

안내와 타기관 이첩도 지난해 2분기 17만307건에서 올해 2분기 17만177건으로 0.1%(130건) 감소했다.

| AD |
시간대별 신고 접수 현황을 보면 낮 12시부터 오후 2시까지의 신고가 10만7천706건으로 전체의 17.7%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반면 새벽 3시부터 5시까지의 신고는 2만8천237건으로 4.6%를 차지해 가장 적었다.

지역별로는 수원시가 3만7천957건으로 가장 많았고, 고양시 3만5천721건, 용인시 3만2천369건, 성남시 3만1천16건, 화성시 3만718건 순으로 인구수와 신고 건수가 비례했다.

서삼기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재난종합지휘센터장은 “119 신고접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민 안전을 위해 재난 관제탑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댓글쓰기 로그인

사회
·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 부천시 공공의료원 설립·운영 조례안..
· ‘경기형 과학고’ 부천·성남·시흥·..
· 김병전 부천시의회 의장, ‘제40회 부..
· 김동연 경기도지사, 월드옥타 회장단 ..
· 이재명 공직선거법 파기환송심, 첫 기..
· 제21대 대통령선거 ‘거동 불편 선거인..
· 서영석 국회의원, ‘치매 관리 정책적..